본문바로가기

국민과 함께 세계와 소통하는 한국국제교류재단한국국제교류재단

SEARCH
검색 닫기

태국

태국 상징 건축물
태국Thailand
동영상

100건

이미지

100건

100건

문서

100건

태국 국기
국기

현 태국의 국기는 1917년 현 짜끄리 왕조의 6대 왕인 라마 6세 때부터 태국 국기로 사용되었습니다. 국기는 청색·흰색·적색 등 삼색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청색은 국가원수인 국왕을, 흰색은 불교를, 적색은 국민의 피를 상징합니다. 태국을 구성하고 있는 국왕·불교·국민을 표현하며, 불교를 정신적 바탕으로 하여 국민의 피로써 국왕을 수호한다는 의미를 지닙니다.

국가 문장

태국 국장은 ‘가루다’라고 불리는 독수리 모양의 새로 번영의 신의 상징이자 시공을 초월한 전설의 새입니다.
태국에서는 국가와 왕실을 보호하는 신으로 숭상받고 있습니다.

태국 문장
태국 지도
수도 : 방콕 (Bangkok) 인구 약800만 명
  • 인구

    약 6,918만 명
    (2018, IMF)

  • 면적

    51.3만㎢
    (한반도의 2.3배)

  • 시차

    -2시간
    (우리나라보다 2시간 늦음)

  • 국명

    타이왕국(Kingdom of Thailand)

  • 정체

    입헌군주제

  • 정치 형태

    내각책임제

  • 의회

    양원제

  • 민족

    타이족 85%, 화교 12%, 말레이족 2% 등

  • 종교

    불교 95%, 이슬람교 4%, 기독교 1%

  • 언어

    타이어(공용어), 중국어, 말레이어

  • 주요 자원

    천연고무, 타피오카, 주석, 텅스텐, 안티모니, 천연가스

  • 기후

    고온다습한 열대성 기후이며, 3계절로 대별됩니다.
    ※ 3~5월 고온, 6~10월 우기(남부는 12월이 우기), 11~2월 비교적 저온

    • 연평균 기온: 28℃ (최고 32.5℃, 최저 23.7℃)
    • 연평균 강우량: 1,600mm
    • 연평균 습도: 79% (최고 94%, 최저 60%)
 
 
 
Tip알아두면 좋은 태국 문화
국왕에 대한 높은 존경심
  • 태국은 전통적으로 불교의 가르침에 따라 아버지가 자식을 보살피는 온정주의적 통치로 백성을 다스리는 군주인 법왕(法王)을 이상적인 왕으로 숭상하고 있습니다.
    1932년 국가 정치 체제가 절대군주제에서 입헌군주국으로 바뀐 뒤 국왕은 직접 정치에 나서지 않으나 국민은 여전히 국왕과 왕실에 충성심이 높습니다.
  • 특히, 라마 9세인 故 푸미폰 국왕은 몇 십 년 동안 전국을 돌아다니며 민생을 돌보고 왕실개발계획으로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헌신하여 국민의 절대적 지지와 존경을 바탕으로 국가 통합의 구심적 역할 수행하고 있습니다.
민족 및 국가에 대한 사랑
  • 19세기 영국과 프랑스가 태국 주변 지역에 대해 식민 지배 영역을 확장해 오자, 라마 5세는 근대화 개혁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근대화의 일환으로 1868년 라마 5세는 노예제를 폐지하고 국민에게 자유 신분을 보장해 주고, 종족을 막론하고 ‘타이어(Tai, 12세기 몽골족의 침입으로 동남아 전역에 다양하게 퍼진 타이족의 언어가 시간이 지나면서 서로 상이한 형태로 변화하였는데, 이들의 언어를 타이어로 통칭)’를 사용하며 태국 영토 안에 있는 모든 사람에게 ‘태국인(Sanchat Thai-Thai Nationality)’이라는 민족·국가 일원의 지위를 부여합니다.
  • 1913년 태국 정부는 태국 영토 내에서 태어나고 자란 모든 사람에게 같은 국적을 부여하는 ‘국적법’을 처음으로 성문화하였습니다.
  • 태국인은 주변국의 침략 위협 속에서도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독립을 지켜낸 민족이라는 자부심이 강하며, 국가와 왕실에 대한 강한 사랑과 애착이 특징입니다.
불교 중심의 가치관
  • 태국인은 불교의 업보와 공덕, 윤회 사상에 대한 믿음이 강합니다. 태국인의 일상생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불교 가르침은 ‘선업선과(善業善果)’, ‘악업악과(悪業悪果)’로, 현생에서 선행을 통해 공덕을 쌓으면 내세에 행복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지만, 불교 가르침에 반대되는 악업을 쌓게 되면 내세에 불행하게 된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 현생에 사회적 지위가 높으며 ‘선인’으로 존경받는 사람은 전생에 공덕을 많이 쌓은 결과로 믿어, 사회경제적 불평등을 업보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경향이 존재합니다.
  • 불교 사찰은 전통적으로 태국인의 교육을 담당하는 기관으로서 불교 가르침을 통해 사회 규범과 윤리 의식 함양 역할 수행합니다.
태국 불교의 특징
  • 태국 불교는 상좌부불교로, 승려들은 매우 엄격한 규율에 따른 수행과 실천 및 개인적 해탈을 중시합니다. 태국 불교의 업보와 윤회 사상은 태국 사람들에게 선한 행위를 장려하고 악한 행위를 자제하도록 하는 도덕적 규범 기능을 하고 있습니다.
  • 남자는 일생에 한 번 승려로 출가(보통1~3개월)하는 것이 관행으로, 자신의 지난 과오를 깨닫고 불교 가르침에 따라 수행하여 선인이 되는 과정이라 여깁니다. 태국어에는 승려 수행을 하지 않은 남자를 ‘콘딥(Khondip, 무르익지 않은사람)’으로, 승려 수행을 마친 남자를 ‘콘쑥(Khsosuk, 무르익은 사람)’으로 비유하며 남성이 어른으로 성장해 가는 통과의례로 간주힙니다.
  • 태국인은 아들이 승려로 출가하는 것을 공덕을 쌓는 행위로 믿고, 아들은 부모님께(특히 출가를 못하는 어머니에게) 길러 주신 은혜에 보답하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태국에는 전국에 4만여 개의 사원과 29만여 명의 승려가 있으며 사원·가정·사무실·상점에까지 불상을 모셔놓을 정도로 신심이 독실합니다. 불상과 승려가 신성한 존재로서 경의와 숭앙을 받으며, 불상 모독은 금물입니다.
주요 관습
  • 두 손을 얼굴 앞으로 모아 합장하는 자세로 인사하는 태국식 인사(와이)는 온화한 태도와 사회 예절을 중시하는 태국인의 국민성과 불교 관행이 생활화된 것으로, 상대방의 지위나 신분에 따라 손의 높이가 변화됩니다.
  • 왕실에 대한 믿음과 존경이 강하여 외국인이라도 왕실을 모욕하는 말이나 행동은 엄금하며, 극장 등에서 국왕 찬가가 연주될 때는 기립하여 예의를 표하는 것이 관행입니다. 오전 8시와 오후 6시에 국가가 울리면 하던 동작을 멈추고 국가가 끝날 때까지 차렷 자세를 유지합니다.
  • 왼손 사용을 부정하게 여기며 ‘존두천족(尊頭賎足)’ 가치관이 생활에 널리 퍼져 있어 어린이라도 머리를 쓰다듬는 것은 금물이고, 발로 사람을 가리키거나 물건을 건네는 등의 행위도 금물입니다.
  • 특히, 앉을 때 발끝이 불상을 향하는 것은 절대 하지 않아야 합니다.
  • 태국에는 불교의 영향으로 20세기 초반까지 성씨 제도가 없었으며, 1913년에 처음 도입되었습니다. 현재도 사람을 부를 때 성보다는 이름이나 별명을 주로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쁘라윳 찬오차 총리를 칭할 때 성보다는 이름을 주로 사용하여 쁘라윳 총리로 칭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