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본문으로 바로가기

[슬기로운 제주 생활] 그 섬에 보내진 사람들

People > [슬기로운 제주 생활] 그 섬에 보내진 사람들
[슬기로운 제주 생활] 그 섬에 보내진 사람들

‘유배’라고 하면 어떤 모습이 떠오르나요? 친구와 가족을 멀리 떠나, 외딴 곳에서 힘들게 생활하는 모습이 그려질 텐데요. 제주는 예로부터 유배지로 이름난 곳이고, 제주로 유배된 유명한 인물도 많았습니다.

인조반정으로 폐위된 광해군은 태안, 강화도 등 여러 유배지를 전전하다 마지막으로 제주에 도착하게 됩니다. ‘빛의 바다’라는 뜻의 이름처럼 조선의 왕들 중 처음으로 빛의 바다를 건너 제주 땅을 밟은 광해군 이혼(李琿). 그는 4년간 가시울타리로 집 밖을 둘러 출입을 막는 형벌인 ‘위리안치(圍籬安置)’ 상태에서 모욕과 멸시를 받으며 살다가 1641년 7월 1일 숨을 거두었습니다. 광해군이 눈을 감은 음력 7월 1일 무렵이 되면 제주 지방에는 큰 비가 내릴 때가 많았는데 이를 ‘광해우(光海雨)’라고 합니다.

<김정희 필 세한도>, 1844년, 23.9ⅹ70.4cm, 전체가로 1469.6cm, 축 길이 33.6cm, 축 지름 2.0cm / 사진 제공. 국립중앙박물관

추사 김정희는 유배인 중 예술가로 가장 이름 높았던 인물입니다. 추사는 명문가의 자제로 태어나 남부러울 것 없는 삶을 살다가 하루아침에 역적이 되었고, 제주에서 약 9년간 유배생활을 하게 됩니다. 그는 척박한 유배생활의 고통을 예술로 승화시키며 <세한도>와 ‘추사체’를 완성했는데요. <세한도>는 역관으로 일하던 제자 이상적이 중국에 사신으로 갈 때마다 자신을 잊지 않고 진귀한 책들을 구해다 주는 것에 깊은 감동을 받아 그에게 선물로 주기 위해 그린 그림입니다. 추운 겨울에도 변함없이 푸른 잣나무와 소나무를 그리고 그 옆에 ‘장무상망(長毋相忘)’, 즉 ‘오래도록 서로 잊지 말자’라는 뜻의 인장을 찍었습니다.

이렇듯 유배의 고통을 견딜 수 있었던 힘은 초라한 처지의 자신을 잊지 않고 챙겨주는 가족과 친구들, 그리고 학문과 예술이었습니다. 오늘날 유배형은 없어졌지만, 이러한 유배인들의 삶은 우리에게 인생의 힘든 순간을 이겨내는 지혜와 위안을 줍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일상이 된 요즘, 지인들에게 장무상망의 마음을 전해보는 건 어떨까요? 집에서 책과 음악, 그림을 즐겨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글 우지원 KF 문화예술사업부 대리

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